에이다, 폴카닷, 코스모스 요 며칠동안 계속해서 핫하게 올라가던 코인들이죠? 이 코인들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스마트 컨트랙트 입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란? 블록체인 간의 유통과정에서 마치 부동산 중개소처럼 복잡하고 힘든 서류나 협상 등의 절차를 대신해주고 중간 역할을 함으로써 보다 신뢰가 가는 거래를 탄탄히 제공해주는 중계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일부분의 소개일 뿐 전체가 아니니 자세히 알아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 하단에 링크 남겨둘게요! 본문에서는 주가 되는 내용이 코스모스인 만큼 간단히 소개해드립니다
오늘은 화제의 중심에 있는 코스모스(ATOM)에 대해 심층 분석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기본 정보]
2021.08.22 기준
시가 총액 : 5,926,316,670,919원(5조9천억원 가량)
코인마켓캡 시가총액기준 순위 : 32위
거래소 : 업비트, 바이낸스, Coinbase Exchange, OKEx, Huobi Global, Paribu 등
코스모스코인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인터체인 암호화폐입니다. 코스모스 체인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여러 블록체인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로 연결해 마치 블록체인 인터넷처럼 작동하도록 중계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쉽게 말해서 허브 역할입니다.
코스모스 허브(Cosmos Hub)는 서로 다른 체인을 전용 구역으로 연결하여 상호 작용할 수 있게끔 하는 중앙 네트워크 역할을 합니다. 네이티브 토큰(ATOM)은 검증자(validator)에게 보상하고 스테이킹(staking)을 하며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CoinMarketCap
Xangle
여러 사이트에서 꽤 괜찮은 평가를 받고 있는 코인으로 스캠일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오히려 활발히 개발 되고 있는 상위 코인이라 할 수 있겠네요:)
그리고 여기서 보이는 KAVA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업비트상의 카바(KAVA)코인이 맞습니다. 코스모스가 오르면 카바도 오를 정도로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바로, 카바가 코스모스 기반의 디파이 금융 플랫폼이기 때문인데요, 어제는 코스모스가 오늘은 카바가 10%가 넘는 상승률을 보여주며 거의 탑티어에 올랐었죠? 이 카바에도 호재가 있었습니다.
카바 스왑의 메인넷 출시일이 카운트다운 형식으로 크게 보여지고 있네요 8일 가량 남았습니다. 코스모스 생태계에서 큰 입지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카바가 한 단계 더 성장함에 따라 코스모스도 호재의 영향을 같이 받았을 수 도 있겠다고 예측됩니다.
폴카닷과 코스모스의 차이
블록체인 인터체인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코인은 폴카닷입니다. 그런만큼 비교를 안해볼 순 없겠죠? 알아봅시다.
차이점 | 코스모스 코인(Cosmos Coin) | 폴카닷(Polkadot) |
네트워크 | 코스모스 기반의 허브 중심에 '존'들로 결합된 구조. 각 존은 주체성 있는 운영이 가능하여 독립성 유지된다. | 릴레이체인 중심으로 파라체인이 병렬화된 구조. 중앙을 중심으로 전체가 균일 보안 수준을 가져 체인 간 신뢰도가 높다. |
거버넌스 | 고정된 규칙 없이 참여 가능하여 접근성이 높다. 각 허브와 존은 개별적으로 자체 거버넌스 프로세스가 있으며 전체에 해당하는 단일 거버넌스 프로세스는 따로 없다. | 단일 릴레이 체인에 정해진 수의 파라체인으로 구성 되어 파라체인이 되기 위해선 경매를 통해 선정되어야 한다. 다량의 Dot를 보유하여 잠궈놔야 하는 조건이 있다. 거버넌스 결정권은 Dot의 보유량에 따라 달리한다. |
통신 프로토콜 |
IBC 블록체인 간 통신을 통해 허브와 존들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 병렬 체인 간 통신을 지원하는 ICMP라는 공유 보안을 사용하여 파라체인 간 메세지를 교환한다. |
프레임워크 | GO언어를 지원하는 코스모스 SDK는 새로운 언어를 배워야하는 점은 있으나 블록체인 개발을 매우 간소화하여 개발자들에게 높은 편의성을 제공한다. | 웹어셈블리(WASM)로 컴파일되는 개발 툴 Substrate을 통해 모든 언어를 지원하여 높은 유연성을 개발자에게 제공한다. |
가독성이 좋지 않을 것 같아 나름대로 키워드를 표시해 놨는데요, 잘 간추려 지시나요?
간단히 말해 코스모스는 편리성, 간소화, 접근성이 좋은 인터체인 플랫폼이며, 폴카닷은 신뢰도 높은, 제한적, 효율적인 인터체인 플랫폼입니다. 둘의 생태계가 비슷하면서도 다르죠? 코스모스는 폭넓게 최대한 많은 블록체인을 품으려고 하고 폴카닷은 선별하고 제한하여 신뢰받는 상위의 블록체인 코인들만의 호환을 제공하려고 합니다.
두 코인이 내새우는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향후 블록체인 인터체인 방향성의 장래성을 보고 더 유망하다고 생각하는 쪽을 투자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참고문서]
스마트컨트랙트란?
https://kr.cointelegraph.com/ethereum-for-beginners/what-are-smart-contracts-guide-for-beginners
코스모스 백서
https://v1.cosmos.network/resources/whitepaper
카바스왑
위키
http://wiki.hash.kr/index.php/%EC%BD%94%EC%8A%A4%EB%AA%A8%EC%8A%A4%EC%BD%94%EC%9D%B8
관련 뉴스
http://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0587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56366
https://learn.bybit.com/ko/crypto-kr/what-is-cosmos-atom/
참고 사이트
https://redsweetie.tistory.com/61
'재테크 > 재테크 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콘(ICON) (0) | 2021.08.25 |
---|---|
샌드박스(The Sandbox/SAND) (0) | 2021.08.22 |
알트코인 OBV 분석 (0) | 2021.08.21 |
RSI (0) | 2021.08.21 |
원칙 매매 대응 (0) | 2021.08.18 |